탐방
행사장소 > 탐방
무등산
- http://mudeungsan.gjcity.net
- http://www.invil.org/english/tourism/themeTour/mountainValley/contents.jsp?con_no=22911&page_no=1
- 무등산은 광주광역시의 동쪽 끝자락과 전남 담양 및 화순에 걸쳐 높이 솟아 올라 이 지역을 지켜주는 산으로서 전라남도의 대표 도시인 광주광역시의 상징이다. 완만하게 둥그스름한 형세로 안정감과 품위를 지닌 산이다. 산길에는 바위들이 별로 없기 때문에 누구든지 쉽게 오를 수 있다. 산에는 약수터가 많아서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 중생대 백악기의 화산 활동에 의해 형성된 주상절리는 용암의 분출과 냉각 및 수축 과정을 통해 생성된 것으로 흡사 기둥 또는 병풍과 같은 모습으로 오랜 세월의 풍상을 견뎌왔다. 기둥 모양 절리의 절벽은 입석대와 서석대 및 규봉암 암자의 돌기둥들로 나누어지며, 입석대와 서석대의 돌기둥의 크기는 남한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이들은 주변의 풍광 및 무등산과 어우러져 멋진 장관을 연출한다.

무등산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KASI)은 1974년에 설립된 국립천문연구소이다. KASI는 소백산천문대를 설립하면서 한국에서의 현대 천문학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어서 대덕전파천문대의 설립을 통하여 천문관측의 범위를 전파영역으로 확대하였으며, 보현산천문대의 설립을 통하여 미래 천문 연구를 위하여 한 걸음 더 나아갔다. KASI는 광학과 전파 영역에서의 이론천문학 및 관측천문학과 같은 다양한 연구 영역을 망라하면서 우주공간에서의 천문학 연구로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감과 동시에 순수 천문학 및 관련 기술의 발전을 통하여 21세기 우주시대를 이끌어가고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동 연구원은 광물자원과 지질학을 다루는 유일무이한 연구 기관이다. 1918년에 설립되어 90년이 넘은 세월에 걸쳐 한반도의 지질학 관련 연구 및 인간과 환경의 보호를 위한 연구들을 수행해왔다.
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에서 청소년들은 무궁무진한 창의적 사고와 상상력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센터에서 제공하는 실험실습 과정의 직접 참여를 통해 우주과학을 배우고 우주를 사랑하는 마음을 배우게 된다.

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낙안읍성
이곳은 마을과 요새가 처음 세워진 당시의 모습대로 가장 잘 보존된 곳 중의 하나로서 민속촌으로 최초 등록된 곳이다. 조선시대인 1397년 일본의 왜구들이 침략하자 김빈길 장군이 의병을 일으켜 성을 조성하여 마을 사람들을 보호하였으며, 임경업 장군이 석조로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확대 축조하면서 왜구의 침략으로부터 훌륭한 방어막의 역할을 하였다. 민속촌 중에서는 주민들이 기거하며 생활을 영위하는 유일한 곳이다.
비엔날레
민중항쟁 및 1980년의 광주민주화운동을 기리기 위하여 1995년에 시작된 광주광역시 비엔날레는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되고 권위 있는 현대미술 비엔날레이다. 광주광역시 비엔날레는 Massimiliano Gioni, Kerry Brougher, 장석원, Okwui Enwezor, Charles Esche, Hou Hanru, 김홍희, 이용우, 이영철, 오광수, 성완경, 그리고 Harald Szeemann를 포함한 역대 행사감독의 지휘 하에 국제현대미술 비엔날레들 중에서 첨단의 위상을 차지해 왔다.
죽녹원
죽녹원은 전남 담양에 조성된 대나무 숲이다. 담양 향교리에 소재한 대나무 밭을 인공 폭포와 정자, 산책로 및 생태전시관을 갖춘 죽녹원 대나무 정원으로 조성하여 많은 관광객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정원 전체를 돌아 보려면 약 1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죽녹원에서 향교다리를 건너면 홍수 방지용 숲이 보인다. 야간에는 조명을 밝혀서 대나무 숲 속에서의 밤길 산책을 도와준다.

죽녹원
송광사

송광사